데이터 독립성, 구조독립성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 게시물로, 깊은 전문지식과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데이터 독립성 data independence 데이터의 성질(ex, int -> float)이 변화 했다고, 데이터를 읽고 쓰는 프로그램을 새로 짜야한다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요즘 같이 Oracle, MySQL과 같은 관계형DB (RDB)가 보편화 되어있는 요즘에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회사에서 고객 평점 정보를 (1, 2, 3, 4, 5점)으로 나누어서 보관하고 있다고 하자, 이는 정수형이다. 그런데 어느날, 운영팀에서 (1, 1.5, 2, 2.5, 3, 3.5, 4, 4.5, 5점)으로 세분화 해서 새로 보관하는게 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