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형 모델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장단점과 특징을 설명한 게시물로, 깊은 전문지식과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계층형 모델
"계층"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떠올릴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의 추상화정도가 낮았던 초기 데이터 모델이다. 데이터의 의미보다는, 그 구조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모형이다.
장점
- Parent/Child 관계로 구성되어있어, 모델을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과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있다.
- DBMS에 의해서 데이터 보안성이 강화되었고, 데이터를 공유하기가 쉬워졌다.
- 1:M 관계의 데이터 모델에 효과적이다 (일대다 관계)
단점
- 계층 구조에서 데이터를 찾는게 힘들다. (Navigation System이 hierarchical path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 구조가 변경된다면, 모든 application 프로그램을 바꾸어야한다. (구조의존성)
- 표준화가 잘 되어있지 않다. (기업별 표준이 다 다르다)
정리
장점 | 단점 |
모델 구조 이해가 쉽다 | 데이터 찾기가 힘들다 |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독립성 (Data independence) |
구조 의존성 (Structure dependence) |
보안성 강화 | 부족한 표준화 |
1:M 관계의 구현이 쉽다. | M:N관계의 구현이 불가능. |
참고
Database syst
ems design, implementaion & management. Carlos Coronel & Steven Morris. CENGAGE 13th edition.
'Data mode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모델] 관계형 모델 기본 (Relational Model) (0) | 2023.09.24 |
---|---|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모델 기본(Network Model) (0) | 2023.09.24 |
[데이터 모델] 데이터 독립성, 구조 독립성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