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모델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위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장단점과 특징을 설명한 게시물로, 깊은 전문지식과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관계형 모델
관계형 모델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델이다. (tabular view)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은 record (데이터 단위) 열은 record의 속성 (attribute 라고도 불림)으로 구성된다.
테이블끼리는 "관계(relationship)"로 서로 연결된다.
위 그림은, 이해를 위해 그린 그림이다. ERD모델과는 다름.
각 테이블로 나누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releationship을 통해서 연결된다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장점 (사람이 쓰기 편함)
- 구조 독립성 만족 (계층형 모델, 네트워크 모델, 파일시스템은 만족하지 않음)
- 테이블로 보여지기에 개념적으로 단순하다.
- SQL을 기반으로 하여 Ad hoc 쿼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쿼리 명령 및 함수를 사용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식)
- 설명하기 단순하고, 관리가 쉽다
단점 (기계가 힘듦)
- H/W와 S/W의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
Database systems design, implementaion & management. Carlos Coronel & Steven Morris. CENGAGE 13th edition.
'Data mode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모델 기본(Network Model) (0) | 2023.09.24 |
---|---|
[데이터 모델] 계층형 모델 기본 (Hierarchical Model) (0) | 2023.09.24 |
[데이터 모델] 데이터 독립성, 구조 독립성 (0) | 2023.09.24 |